compmgmt.msc : 컴퓨터 관리 devmgmt.msc : 장치관리자 diskmgmt.msc : 디스크 관리 dfrg.msc : 디스크 조각모음 eventvwr.msc : 이벤트 뷰어 fsmgmt.msc : 공유폴더 gpedit.msc : 로컬 컴퓨터 정책 lusrmgr.msc : 로컬 사용자 및 그룹 perfmon.msc : 성능모니터뷰 rsop.msc : 정책의 결과와 집합 secpol.msc : 로컬 보안설정 services.msc : 서비스
cmd 또는 command : 도스 모드창을 띄우는 명령어 ipconfig : ip구성창을 나타냄 (현재 ip주소 확인과 갱신 가능) 일단 도스창으로 나가셔서 ipconfig하시면 확인 가능하고 ipconfig/renew를 치면 갱신 윈98과 me버전은 실행창에서 winipcfg 하시면 같은 역할
DXDIAG : 컴퓨터 각종 사양보기 regedit : 레지스트리편집기 ping : 핑테스트.. ping daum.net 이렇게 치시면 다음넷과 서버 연결 상태(ip확인가능)
msconfig :시스템 구성 유틸리티(윈도우가 부팅될때 읽어들일 것들을 목록으로 만들어 놓은 것)
msconfig(시작프로그램 제어등 많은기능 제공) 단, 윈2000은 지원 안함 regedit(레지스트리 편집기)
sfc(시스템 파일 검사및 복원) 단, 윈2000은 cmd - sfc 혹은 sfc /scannow -윈2000의 경우 시디를 넣었음에도 불구하고 시디인식이 제대로 안될때 리부팅후 다시 해본다. 파일복구미지수 -위 방법보다는 윈2000시디부팅 후 설치화면상의 콘솔복구방법을 강추천한다.
winipcfg(인터넷에 접속된 자신의 아이피 주소를 보여줌) 단, 윈2000은 ipconfig로 변경됨
systray(사운드 볼륨설정 노란색 스피커 아이콘을 트라이목록에 띄움) ping 사이트주소(핑테스트 해당 사이트의 인터넷연결 유무 확인)
=윈2000&윈xp= taskmgr.exe 또는 shift+ctrl+esc : 작업관리자 열기단축키 gpedit.msc : 로컬 컴퓨터 정책 ㅡ 관리템플릿[바탕화면, 작업표시줄및 시작메뉴, 제어판, 시스템등 사용자가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lusrmgr.msc : 로컬 사용자 및 그룹 compmgmt.msc : 컴퓨터 관리 devmgmt.msc : 장치관리자 diskmgmt.msc : 디스크 관리 dfrg.msc : 디스크 조각모음 eventvwr.msc : 이벤트 뷰어 fsmgmt.msc : 공유폴더 perfmon.msc : 성능모니터뷰 rsop.msc : 정책의 결과와 집합 secpol.msc : 로컬 보안설정 services.msc : 서비스
========================================================================== Windows 명령어 정리 ==========================================================================
1. drwatson or drwtsn32 로그파일뷰어
2. msconfig 시스템구성유틸리티
3. netstat -na 현제 내컴에 접속되어 있는 IP와 포트를 디스플레이
4. conf 원도우에서 기본제공하는 원격관리 툴인 netmeeting를 실행시켜주는 프로그램.
5. ping 상대방 컴퓨터의 네트워크 연결 확인
6 ipconfig 명령프롬프트에서 실행시키면 내컴의 IP를 알수 있음. /all, /release, /renew 7. winipcfg IP 확인하는 명령.. 98과 me에서만 사용가능
8. sfc /scannow 컴퓨터의 시스템 파일을 검색하여.. 원본 파일로 바꾸어주는 명령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