뽀라닷컴
Loading...




웹디자인,포토샵,그누보드,제로보드,동영상제작 관련 메모 >>


전체(437)인터넷,컴퓨터 (94) | 웹디자인tip (182) | CG,그래픽tip (70) | BBS_Tip (74) | 영상tip (17) |
ssh 명령어 2008-08-28 18:27:49
홈페이지홈페이지

실제 리눅스/유닉스 계열의 명령어는 그 수가 헤아릴 수 없을만큼 많습니다.

따라서 전문적으로 SSH 명령어를 사용하시려면

전문 서적을 구입하셔야 합니다.

아래는 간단하게 몇가지 명령어를 알려드리겠습니다.

  1. 리눅스 관련 명령어

    $> cd : 디렉토리 사이를 이동
    (cd /home 홈디렉토리로 이동)
    (cd .. 한단계 상위로 이동)

    $> cp : 파일의 copy ( 중요한 파일의 복사본이 필요할 때 유용 )
    (cp 복사할파일명 복사될파일명 ex: cp abc.html aaa.html
    (cp 복사할파일명 복사될경로 ex: cp abc.html /home/abc.co.kr/public_html)
    (cp a 복사할폴더 복사될폴더 ex: cp a abc/ aaa/)
    (cp R 복사할폴더 복사될경로 ex: cp R abc/ /home/abc.co.kr/abc)

    - a 옵션은 디렉토리, 파일을 “그대로”복사하는 옵션. 여기서 그대로라는 말은 파일의 소유권, 생성날짜, 변경날짜를 말합니다.

    - R 옵션은 해당 폴더의 하위 디렉토리 및 파일까지 전부 복사하는 옵션입니다.

    $> rm : 파일의 삭제 ( 한번 삭제시 한 후 복구 불가능 )
    rm 삭제할 파일명 확인 메시지가 나올경우 y를 누름.
    rm -r 삭제할 디렉토리명 (디렉토리의 삭제)
    예) rm a* ( 파일명이 a로 시작하는 모든 파일의 삭제 )

    - r 옵션은 폴더 삭제 옵션이며,

    - f 옵션의 경우 삭제할지 여부를 묻지 않도록 하는 옵션으로 되도록 사용하지 않되, 필요할 경우 주의해서 사용할 것을 권장합니다.

    $> mv : rename 과 move 의 기능을 동시 가짐

    a. rename의 기능 : 파일 또는 디렉토리의 이름을 변경
    mv 변경할파일명 변경될파일명
    (ex : mv index.html abc.html)

    b. move의 기능 : 파일의 이동
    mv 이동할파일명 이동될디렉토리
    (ex : mv index.html /home/abc.co.kr/public_html)

    $> ls : 파일정보 확인
    ls -al ( 퍼미션까지 모두 볼수 있음 $> ll 과 동일 )

    $> chmod : 퍼미션의 변경
    chmod 퍼미션(777, 755..) 퍼미션을 변경할 파일 혹은 디렉토리
    ex) chmod 644 index.html
    ex) chmod 755 public_html/ -R
    -R 옵션의 경우 해당 디렉토리 하위의 폴더 및 파일까지 전부 변경시키는 옵션입니다.

    $> chown : 소유권 변경하기
    (chown 소유자의소유권.그룹의소유권 소유권을 변경할 파일 혹은 디렉토리)
    (ex : chown abc.abc aaa.html)
    (ex : chown abc.abc public_html/ -R)

    - R 옵션의 경우 해당 디렉토리 하위의 폴더 및 파일까지 전부 변경시키는 옵션입니다

    $> pwd : 절대경로의 위치 ( 현재의 위치 검색 )

    $> du : 용량의 확인
    du -h ( M단위로 확인 )

    -sh 옵션은 용량 확인 과정을 보여주지 않고 한번에 사용하는 용량을 Mbyte 단위로 출력하는 옵션입니다.

    - df -h : 서버의 각 디렉토리 사용량 M단위로 확인

    $> tar : 여러개의 파일 및 디렉토리를 하나의 압축 파일로 묶음
    (파일 또는 디렉토리의 백업시 유용)
    ① 파일의 압축 / 해제
    예) 압축 $> tar cvfpz home.tar aa.html bb.html
    aa,html 과 bb.html 을 home.tar 로 묶음
    풀기 $> tar xvfpz home.tar
    ② 디렉토리 압축 / 해제
    public_html, 게시판등의 중요한 디렉토리를 압축하여 보관할 때 유용
    예) 압축 $> tar cvfpz home.tar.gz public_html
    풀기 $> tar xvfpz home.tar.gz

    $> vi : 간단한 파일 편집기( 도스의 edit 기능 $> 소스를 확인할 때 유용 )
    vi 파일명(ex : vi abc.html)
    **편집모드에서의 명령어**
    i 혹은 a 입력모드
    /단어명 해당 단어의 검색
    :set nu 편집중인 문서의 줄 번호를 보여줌
    :set nonu 편집중인 문서의 줄 번호를 보여주지 않음
    :w 저장
    :wq , :x 편집 중인 파일을 저장하고 종료
    :wq! , :x! 편집 중인 파일을 강제로 저장하고 종료(읽기전용 파일도 가능)
    :q! 편집 중인 파일을 저장하지 않고 종료

    $> mkdir : 디렉토리 생성하기 (mkdir 디렉토리명)

    $> rmdir : 디렉토리 삭제하기 (rmdir 디렉토리명)
    (단, 디렉토리 안에 파일이 없는 경우만 삭제가 가능합니다.)

  2. MySQL 사용 방법

  3. 접속 : /usr/local/mysql/bin/mysql -u아이디 -p비밀번호 DB Name
    백업 : /usr/local/mysql/bin/mysqldump -u아이디 -p비밀번호 DB Name > 파일명.sql
    복원 : /usr/local/mysql/bin/mysql -u아이디 -p비밀번호 DB Name < 파일명.sql
    http://서버주소/mysql 에서도 백업/복원/생성/수정/삭제 다~ 가능합니다.

  4. SSH로 접속 후 [root@web-XX~]# mysql -u DB아이디 -P DB명

    Enter password: DB패스워드 입력

    mysql > : 접속된 상태이다.

  5. MySQL 백업 및 복구관련

    백업 : mysqldump -u ID -p DB명 > file명.sql

    Enter password: DB패스워드 입력

    특정 테이블만 백업 : mysqldump -u root -p DB명 TABLE명 > TABLE명.sql

    Enter password: DB패스워드 입력

    복구 : mysql -u 아이디 -p 디비명< 파일이름.sql

    Enter password: DB패스워드 입력

  6. 기타 명령어

    $> whois : 도메인의 정보를 확인(ex: whois abc.co.kr)

    $> nslookup : 도메인의 IP 확인
    (ex : nslookup abc.co.kr)
    (ex : nslookup abc.co.kr ns.bora.net) 외부 회선에서의 IP확인
    외부회선은 : ns.daum.net, ns.naver.com 등이 있다.

    $> ping : 도메인의 연결 상태 확인(ex : ping abc.co.kr)

    $> mysql -V : mysql의 버전확인

    $> php -v : php의 버전확인, zend Optimizer의 버전도 확인 가능

     


    >> cd
    디렉토리를 변경할 때 사용.
    예 : [test@host2]$ cd 이동할 디렉토리 명.
    >> cd 아무것도 입력 안하면 최상위 폴더로 이동
    >> cd.. 상위 폴더로 이동
    >> who 접속자수와 아이피
    >> mv (파일명) (폴더명)
    해당파일을 지정된 폴더로 옮기는 명령어

    >> ls
    디렉토리의 화일들을 보여줌.
    예 : [test@host2]$ ls <옵션>
    <옵션>
    -al : Hidden속성의 파일 표시(a옵션),파일의 종류, 사용권한등 자세한 정보표시(l옵션)
    -aC : 도스의 dir /w명령과 같이 한 줄에 여러 개의 정보를 표시(C옵션)
    -R : 도스의 dir/s 명령과 같이 서브디렉토리의 모든 명령어를 보여주는 옵션(R옵션)

    >> passwd
    자신의 계정의 암호를 변경할 때 사용.
    예 : [test@host2]$ passwd 변경할 ID.
    New Unix Password : 암호 입력
    Retype new Unix Password : 암호 재입력

    >> pwd
    자신의 홈디렉토리를 확인할 때 사용.
    예 : [test@host2]$ pwd
    /www/home/test

    >> cp
    파일이나 디렉토리 복사시 사용.
    예 : [test@host2]$ cp <복사할 파일명> <복사되어 생성될 파일명>

    >> rm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삭제할 때 사용.
    예 : [test@host2]$ rm <옵션> <삭제할 파일이나 디렉토리명>
    <옵션>
    -r : 디렉토리까지 삭제하기 위한 옵션.
    -f : 삭제하기 전에 확인과정없이 삭제.

    >> mkdir
    디렉토리를 생성할 때 사용.
    예 : [test@host2]$ mkdir <생성할 디렉토리명>

    >> rmdir
    디렉토리를 삭제할 때 사용.
    예 : [test@host2]$ rmdir <삭제할 디렉토리명>

    >> du
    자기 계정의 디스크 사용량을 볼 때 사용.
    디렉토리를 삭제할 때 사용.
    예 : [test@host2]$ du <옵션> <사용자아이디>
    <옵션>
    -s : 전체 사용량을 간략히 표시
    -h : 용량단위로 표시하여 좀 더 알기 쉬움.

    >> cat
    파일의 내용을 확인할 때 사용.
    예 : [test@host2]$ cat <옵션> <파일명>
    <옵션>
    -b : 행번호를 앞에 붙여서 출력. (빈행은 번호를 붙이지 않습니다.)
    -n : 행번호를 앞에 붙여서 출력. (빈행도 번호를 붙입니다.)

    >> tar
    여러개의 파일을 묶거나 풀 때 사용.
    예 : [test@host2]$ tar cvf 압축파일.tar 압축대상파일 및 디렉토리 : 압축할때
            [test@host2]$ tar xvf 압축파일.tar : 풀 때 ,
              압축풀때 tar xvfzp 파일명.tar.gz
    >> sh
    설치파일 실행
    sh ./파일명.sh
    <옵션>
    -c : tar 파일을 생성할 때
    -d : tar 파일과 해당 파일시스템간의 차이점을 확인하고자 할 때 사용.
    -r : tar 파일에 다른 파일들을 추가하고자 할 때 사용.
    -t : tar 파일의 내용을 확인하고자 할 때 사용.
    -f : tar 파일을 사용할 때 반드시 사용.
    -p : tar 파일을 생성할 때 당시의 퍼미션을 그대로 하여 풀어줄 때 사용.
    -v : 묶을 때나 풀어줄 때 파일들의 내용을 자세하게 보려고 할 때 사용.
    -Z : compress로 압축파일 사용할 때 압축이나 해제까지 한번에 할 때 사용.
    -z : gzip과 관련하여 압축이나 해제를 한꺼번에 할 때 사용.

서버관리 리부팅
시스템을 재부팅합니다.


reboot
reboot명령어는 시스템을 종료한 후에 재부팅을 하는 명령어입니다.
이 명령어는 halt와 poweroff와 마찬가지로 시스템을 종료하는 명령어이지만 halt와 poweroff는 시스템종료 후에 시스템의 재부팅을 하지 않지만 reboot은 시스템종료 후에 재부팅을 한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halt와 poweroff는 시스템종료명령어라고 하며 reboot은 시스템 재부팅명령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명령어는 init과 shutdown과 함께 알아두시기 바랍니다.
사용형식
       /sbin/reboot [-n] [-w] [-d] [-f] [-i]
사용예 #1
그냥 reboot이라고 하면 시스템종료후에 재부팅을 합니다.
[root@host3 root]# reboot
[root@host3 root]#
사용예 #2
-n옵션을 사용하면 rync작업을 하지않은채로 시스템종료를 하고 재부팅을 합니다.
[root@host3 root]# reboot -n
[root@host3 root]#
사용예 #3
-w는 시스템재부팅은 하지않지만 /var/log/wtmp에 정보를 저장합니다.
[root@host3 root]# reboot -w
[root@host3 root]#





    



목록보기 삭제하기

번호 제목 일자
187  [BBS_Tip] 제로보드 현재위치 표시방법  2009-01-06
186  [BBS_Tip] 제로보드 게시판 아이디 변경하기  2009-01-06
185  [웹디자인tip] 링크에 그림자누른효과  2009-01-06
184  [CG,그래픽tip] 일러스트 한글폰트명 안뜰때  2008-12-25
183  [CG,그래픽tip] 포토샵 브러쉬  2008-12-25
182  [웹디자인tip] 자바소스  2008-12-25
181  [BBS_Tip] 게시물역순정렬  2007-12-06
180  [웹디자인tip] 일러스트 작업중 알수 없는 오류로 저장 불가능.  2008-12-23
179  [CG,그래픽tip] 일러스트 표그려보기  2008-12-17
178  [웹디자인tip] php 따옴표  2008-10-07
177  [웹디자인tip] form 태그의 이해. 입력폼 만들기  2008-10-02
176  [CG,그래픽tip] pdf 파일의 암호 깨는 프로그램  2008-10-01
175  [웹디자인tip] 인클루드 하는 플래시의 서브 페이지 인식  2008-09-25
174  [인터넷,컴퓨터] sata 하드 장착  2008-09-06
 [웹디자인tip] ssh 명령어  2008-08-28
172  [웹디자인tip] Lightbox & lytebox  2008-06-10
171  [웹디자인tip] 새창 원하는 위치에 띄우기.  2008-06-09
170  [BBS_Tip] 이미지태그 이미지삽입시 리사이즈 & 새창보기  2008-06-07
169  [인터넷,컴퓨터] 한글이 안 써질때,  2008-06-07
168  [인터넷,컴퓨터] 프리 아이콘 사이트.  2008-06-07
167  [BBS_Tip] 관리자아이디 변경팁  2008-06-06
166  [BBS_Tip] 사용권한 메세지 수정 방법.  2008-06-06
165  [웹디자인tip] 이미지 border (테두리라인)  2008-06-06
164  [인터넷,컴퓨터] 트래픽이란?  2008-06-03
163  [웹디자인tip] 웹페이지 경로의 이해.  2008-06-03
목록보기
1112131415161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