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버튼에 로드무비 걸기 on (release) { _root.심볼1.removeMovieClip(); _root.createEmptyMovieClip("심볼1",0); _root.심볼1._x = 0; //무비의 가로위치 _root.심볼1._y = 0; //무비의 세로위치 _root.심볼1.loadMovie("플래시네임.swf"); } ********************************************************************************************************* ********************************************************************************************************* 2.버튼에 로드무비 걸기 on(press){ screen.loadMovie("main.swf") } 이렇게 써주시고,screen은 무비클립 인스턴스네임입니다... screen이라는 무비클립을 만들고...버튼도 만들고... 버튼에다가 on(press){ screen.loadMovie("main.swf") } 이렇게 써주시면 되겠네요.. ********************************************************************************************************* ********************************************************************************************************* ① _root.loadMovie("a.swf");
☞ swf 파일 불러오기 ② _root.bbb.loadMovie("a.swf");
☞ swf 를 메인에 있는 bbb무비클립인스턴스에 불러오기 ③ _root.loadMovie("a.swf", 1);
☞ swf 를 레벨1로 불러오기 ④ _root.loadMovie("aaa.jpg");
☞ jpg 파일 불러오기 ⑤ _root.bbb.loadMovie("aaa.jpg"); ☞ jpg 파일을 메인에 있는 bbb무비클립인스턴스에 불러오기 ⑥ unloadMovie (1);
☞ 레벨 1에 로드된 무비를 언로드 ⑦ unloadMovie ("a.swf");
☞ 현재 무비에 로드된 a.swf 무비를 언로드 ⑧ _root.bbb.unloadMovie();
☞ 메인 타임라인의 bbb 무비클립에 로드된 무비를 언로드 ⑨ this["bbb"].unloadMovie();
☞ 현재 타임라인의 bbb 무비클립에 로드된 무비를 언로드 ⑩ sss.bbb.unloadMovie();
☞ sss심볼 타임라인의 bbb 무비클립에 로드된 무비를 언로드 ⑪ button.onPress = function() {
_root.loadMovie("aaa.swf"); } ********************************************************************************************************* ********************************************************************************************************* 플래시에서 swf 파일을 불러들이는 내장함수는 두가지가 있습니다.. 우선 loadMovie 가 있구욤.. 다른 하나는 loadMovieNum 이 있습니다.. 이것은 서로 다른 차이가 있습니다.. 우선 첫번쨰 같은 경우는 타겟으로 swf 파일을 로드합니다... 보통 빈 무비클립에 인스턴스명을 주고 그곳에 로드를 하져 로드후에 사이즈 조절은 _xscale 같이 퍼센테이지로 밖에 할수 없습니다.. 그리고 이렇게 불러들인 swf 파일은 불러온 원래 swf 에서보면 하위에 있는 자식 무비입니다.. 불려들어간 swf파일에서 보면 원본은 부모입니다.. 이런식으로 경로로 하면 불러들인 swf 을 제어 할수가 있습니다.. loadMovieNum 같은 경우는 레벨로 불러들입니다.. 레벨로 하면 복잡해지고 지저분해질수 있습니다.. 이경우는 제어 하기가 힘듭니다.. 또 스케일이나 좌표도 임의로 만들어 줄수도 없구요.. 그래서 보통 잘 않씁니다.. 이제 로드무비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우선 불러들인 원본 무비에 빈 무비클립을 만듭니다.. 인스턴스명을 showstage라고 하겠습니다. 이 무비클립은 님이 무비클립이나 메인타임라인에 넣습니다.. 저는 메인타임라인으로 하겠습니다. 어떤 버튼을 눌렀을때 이벤트가 발생하는데.. 그곳에 넣는 방법으로 하겠습니다.. 예를들어.. 버튼을 눌렀을때 서버상의 같은 폴더에 있는 1st.swf을 로드무비시킨다고 가정하면.. on(release){ loadMovie("1.swf", "_root.showstage"); } 간단하죠? 만약 버튼 마다 다른것을 로드하게 싶다면 저렇게 하는것보단 버튼에 변수를 지정해줍니다.. 그리고 그 변수에 따라 불러들이게 하는 방법이 더 좋습니다.. 예를들면.. on(release){ _root.aa = 1; } 메인타임라인에 있는 aa라는 변수에 1을 부여하는겁니다.. 다른 버튼에는 2,3,4, 이런식으로 넣으면 됩니다.. 이렇게 한다음 조건문으로 걸러주면 됩니다. if(_root.aa == 1){ loadMovie("1.swf", "_root.showstage"); }else if(_root.aa == 2){ loadMovie("2.swf", "_root.showstage"); }else if(_root.aa == 3){ loadMovie("3.swf", "_root.showstage"); ..... 이런식으로 하면 더 손쉽게 만들수 있고 나중에 수정하기도 쉬워집니다.. 주의할점은 빈무비클립의 좌표와 불러들이는 swf 좌표가 다르기 때문에.. 아마 빈무비클립의 위치를 0.0인곳에 위치해놓아야 님이 원하시는 위치에 불러들일수 있을겁니다^^ 그럼 도움이 되셨기를^^ *********************************************************************************************************
|